우울증 증상 자가진단 | 경증·중등도·중증까지 단계별 체크리스트
요즘 너무 무기력한데, 이게 우울증일까?" 단순한 우울감과 치료가 필요한 우울증은 다릅니다. 우울증의 증상과 심각도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 지금 확인해 보세요
우울증 증상, 단순한 기분 저하와는 다릅니다
“그냥 요즘 좀 힘들어서 그래.”
“다들 이런 감정은 겪잖아?”
많은 사람들이 우울증을 단순히 기분의 문제로 생각하지만,
실제 치료가 필요한 우울증은 명확한 증상과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 내가 겪는 감정이 ‘단순한 무기력’인지, ‘우울증’인지 그 기준부터 명확히 짚어볼 필요가 있어요.
우울증은 ‘진단 기준’과 ‘영향도’로 구분됩니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아래 두 가지로 우울증의 심각도를 평가하는데요.
- DSM-5 진단 기준 (총 9가지 중 5개 이상, 2주 이상 지속)
- PHQ-9 검사 결과 (일상생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
단순히 몇 가지 증상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치료가 필요한 건 아니지만, 일상생활이 무너질 정도라면 경증을 넘어선 상태일 수 있어요.
우울증 증상 정리: 내가 겪고 있는 건 어떤 단계일까?
- ✅ 대표 증상 (DSM-5 기준)
DSM-5는 미국 정신과 의사들이 만든 공식 진단 기준이에요. 병원이나 상담소에서 우울증을 진단할 때 가장 많이 참고하는 기준이라, 믿고 참고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 하루 대부분 우울하거나 공허한 느낌
- 흥미와 즐거움 상실
- 식욕 변화 (감소 또는 증가)
- 수면 변화 (불면 또는 과다수면) 피로감,
- 에너지 상실
- 자신에 대한 무가치감 또는 과한 죄책감
- 집중력 저하,
- 결정 내리기 어려움
- 이 상황을 벗어나거나 삶을 포기하고 싶다에 대한 반복적 생각
경증? 중등도? 중증? 단계별로 구분해 보세요
🔹 경증 우울증
- 증상 5~6개 해당
- 생활은 유지되지만 감정적 에너지가 매우 낮음
- 스스로 회복 가능성도 있지만, 상담을 병행하면 효과적
🔹 중등도 우울증
- 증상 6~7개 이상
- 일상 유지가 점점 어려워지고 수면·식욕 변화가 뚜렷
- 비대면 상담이나 단기 약물 치료 고려해야 할 시점
🔹 중증 우울증 증상
- 8~9개 대부분 해당
- 반복적인 삶을 포기하고 싶은 마음, 신체 통증, 무기력 극심
- 즉각적인 정신과 진료 및 약물 치료가 필요
이런 증상 하나라도 있다면 반드시 상담이 필요해요
특히 아래와 같은 증상이 계속된다면, 진단 기준을 다 채우지 않더라도 ‘지금 상담이 꼭 필요한 상태’ 일 수 있어요.
- 삶을 포기하고 싶은 생각이 자주 떠오를 때
- 잠을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거나, 밤마다 뒤척이게 될 때
- 아무것도 하기 싫고, 작은 일에도 지치고 무기력할 때
- 먹는 걸 조절하기 어렵거나, 체중 변화가 커서 불편함을 느낄 때
- 이유 없이 몸이 아프고, 병원 검사에도 이상이 없을 때
이런 신호들은 단순한 컨디션 저하가 아니라, 내 마음이 보낸 구조 요청일 가능성이 커요.
병원은 아직 망설여진다면, 이렇게 시작해 보세요
당장 병원이 부담스럽거나 내키지 않는다면 ,
- 익명 비대면 상담
채팅·음성·영상 중 선택 가능, 얼굴 공개 없이 가능
- 1회 무료 상담 제공
서비스 진입 장벽 없이 가볍게 시작 가능
불안, 공황장애 등 복합 증상도 함께 다룸
우울증은 ‘어떤 사람만 걸리는 병’이 아니라, 누구나 겪을 수 있는 마음의 감기입니다. 지금 내가 겪고 있는 감정이 우울증의 신호일 수 있다고 느껴진다면, 한 발 늦기 전에 체크하고, 가볍게 상담을 시작해 보세요. 치료는 ‘심각해졌을 때’가 아니라, 불편하다고 느껴졌을 때 시작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